산림분야 사회적경제기업 사회적성과관리지표 개발 연구

산림분야의 사회적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산림분야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개별조직의 성과관리 지표를 도출하고

산림 특화형 사회적가치 성과지표 개발

 

지표개발의 배경

지속적으로 사회적가치 성과측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사회적경제에 대한 민간의 인식은 저조하고 금융·조달 등 사회적경제 기업의 자생력 제고 기반도 취약하며, 행정의 판단 기준이 사회적가치에 대한 평가기준이 미흡하여 사회적가치 실현의 증명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회투자지원재단에서는 한국임업진흥원과 함께 이런 부분을 보완하고자 산림분야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가치 성과측정지표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분야별 대표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성과 관리를 통한 역량강화와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며 분야별 대표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 성과지표 도출을 통해 산림분야 사회적가치 실현 확산의 기반마련 하고자 하였다.

산림형 특화지표 개발

대표적인 산림형 사회적경제기업 대상으로 지표개발에 적극적인 의지가 있고, 컨설팅 기간 및 일정이 확보되며, 가능하면 분야별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기업 3곳을 선정하여 집중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대표적인 세 곳의 사회적경제기업을 통해 얻은 산림형 특화지표의 주요 영역과 측정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체험형 : 숲체험 및 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사회적 영향력은 숲에 대한 가치 이해, 숲을 통한 정서적 안정, 숲을 매개로 한

사회관계망의 향상 등을 들 수 있음

▸숲 체험 및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한 자연에 대한 감수성,관계,정서의 변화를 끌어 냈는가?

▸숲체험 및 교육 서비스의 규모는 증가하고 있는가?

▸숲체험 운영과정에 대해 참여한 구성원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숲체험 및 교육과정의 전문성은 어떠한가?

 

2. 공간 및 지역개발 : 지역사회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얻게 된 지역사회의 경제적 편익과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증명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활동참여를 보장하고 있는가?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는가?

▸지역활동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성과 분위기확산에 기여하였는가

 

3. 숲부산물 : 개발이라는 명목 하에 이루어지는 벌목과 간벌로 소중한 우리나라의 목재가 버려지고 있음

▸버려지는 국내산림자원을 새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가?

▸새활용에 사용하는 목재중 로컬목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가?

▸국내산림자원을 새활용한 신제품, 신사업을 개발하고 있는가?

 

4. 지역향토 임산물 생산 : 지역 자원의 전통성과 역사성을 기반으로 한 향토 산업이 지속 가능하도록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향토 임산물을 꾸준히

생산하여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지역향토 임산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유지하고 있는가?

▸향토 임산물을 생산하는 임농가가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

▸지역향토 임산물을 전국 및 지역의 생산량에서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는가?

 

5. 단기 일자리 제공 : 산림 교육 및 지역농산물 유통 및 제작 등을 통해 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역주민들의

단기일자리(정기적 활동) 등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음

▸유급근로 활동인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신규 활동인원과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가?

▸직무를 통해 역량의 성장과 전문성이 강화되고 있는가?

▸직원복지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연구 요약본 PDF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를 활용할 때에는 사회투자지원재단의 허락을 구하고 출처를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요약본] 임업진흥원 산림분야 사회성과관리지표 개발

댓글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