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반 사회적경제 가치측정 연구

 

지역기반 사회적 경제는 다양한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생성해나가야 하는

공동생산의 과정을 통해 지역화 모델을 만들어 갈 수 있어야

 

사회적 경제는 시장경제와 공공경제와는 다른 독특한 경제방식을 지니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주류적인 경제방식과는 차별적인 생성과정을 반영하는데, 사회적 필요에 대응하는 구성원들의 경제방식과는 차별적인 생성과정을 반영하는데, 사회적 필요에 대응하는 구성원들의 자율적이고 협력적인 해결방식의 생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경제 활동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사회적 편익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인정과정은 그것의 사회적 역할모델의 구성과 발전방향 설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014년 현재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특화사업은 자치구별로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을 구성해서 사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지역특화사업을 비롯한 사회적경제 조직은 지역구성원들의 사회적?환경적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도구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소통하고 운영하는 도구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의 변화와 지역구성원들의 변화 측정 등을 위한 실천적 조사연구가 필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발주로 사회투자지원재단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 경제의 가치평가모델 구성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지방정부와 시민사회, 지역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참여적 평가방식을 통해 평가모델 구성을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서울시 지역특화사업을 진행하는 2개 지역을 선정하기로 하여,신청을 받아 최종 2개 지역의 시범사업지역을 신청을 통해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지역은 노원지역과 성북지역이다.

 

노원과 성북지역에서 수행된 연구는 사회적경제 지역특화 사업단이 갖는 지역사회변화를 위한 사업의 목적과 활동들이 사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인정되고 있는 가에 대한 내용적 실체에 접근하고자 하는 목적아래 진행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환경 분석

②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을 둘러싼 핵심이해관계자 분석

③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의 목적과 활동

④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의 산출 성과 지표 선정

⑤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단의 사회적회계 모형 구성

 

연구수행을 위해서 액션 리서치(Action Reserch)와 사회적 회계(Social Accounting), 이해관계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델파이 조사(Delphi Survey)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진행 방법은 우선 지역특화사업단이 놓인 지역사회의 환경분석을 통해서 지역특화사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과의 사업이 갖는 목적과 활동에 대한 방향을 수립하도록 하며, 워크숍을 통해서 구체적인 사업의 목적과 활동을 설정하는 작업을 하도록 한다.

 

설정된 사업의 목적과 활동을 토대로, 연구진이 예비평가지표를 작성하여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 하도록 한다.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지역특화사업단의 사회적 가치평가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후 구성된 사회적 가치평가 모형에 따라 사업에 대한 사회적회계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사업에 반영하고 평가환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를 자립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첫째, 지역특화사업단의 평가에 있어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그 사업이 생성하는 다양한 Community Impact를 측정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며, 단순 산출지표 보다는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두 지역에서 이루어진 연구과정을 통해서 각 지역의 사업단 주체들은 사회적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방향과 목표수립을 통해서 사회적경제의 활성화의 조건과 전략방향에 대한 일반화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 조직, 지역주민, 시민단체, 지방정부 등의 다양한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생성해나가야 하는 공동생산의 과정을 사회적 회계를 통해서 자극하고 이를 액션리서치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변화과정을 조직하는 전략은 현실에서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지역화되어 갈 수 있는지에 대한 전형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One thought on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가치측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