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자원조사를 통한 경북자활 신사업개발 연구사업

경북

 

경북자활 신사업개발 연구사업은

​① 지역특성 및 참여주민 역량에 맞는 맞춤형 자활근로사업 개발

​② 신개발사업의 타당성 및 지속가능성 제고(공공자원연계 및 사업 환경 분석 기반)를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과 자활기업 육성

​③ 공공자원의 위․수탁 운영과 자활사업의 인적․물적 자원의 지역사회 선순환을 통한 지역발전 기여를 위해 기획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경북의 핵심의제 및 아이템을 발굴하고 지역자원조사 방법론에 기초한 액션러닝방식으로 각 아이템별 실현가능한 사업계획서를 기획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의 진행방식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경북2

 

재단은 경북자활협회와 함께 구성한 신사업개발 기획팀(TFT)을 통해 예비신규아이템을 선정하였고 경북자활센터장 전체모임과 설문작업을 통해 아이템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아이템은 ➊ 사회적농업, ➋ 공원녹지관리, ➌ 사회적유통, ➍ 사회공공주택관리였다. 네 가지 아이템을 중심으로 센터들의 참여신청을 받아 액션러닝방식의 워크숍을 진행중이다. 진행과정에서 사회공공주택관리 아이템은 경북의 현재 상황상 진행하기 어려운 사업아이템으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보기로 하고 대신 ➎ 지역관리기업이나 마을관리사무소 아이템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더불어 경북에 필요한 아이템으로 ➏ 농촌중심지활성화 지역역량강화사업, ➐ 사회적경제 인큐베이팅 및 컨설팅사업, ➑ 태양광발전 청소사업 등을 선정하고 병행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워크숍을 진행하기에 앞서 경북지역 자활센터의 공감대형성을 위해 사회적농업, 공원녹지관리, 사회공공주택관리에 관한 교육을 진행하였다.

경북1

공통교육을 통해 사회적농업의 개념과 의미, 내용과 사례를 살펴보며 사회적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공원녹지관리와 사회공공주택관리에 대한 사례강의를 들으면서 그 가능성을 제고해 보았다.

재단은 이번 연구사업을 통해 각 아이템별로 관심있는 센터가 워크숍에 참여하여 자신의 상황에 적용가능한 내용으로 사업계획을 세우려고 한다. 또한 경북도청 등의 각 아이템별 관련 담당자를 만나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려고 한다.

본 연구사업 비롯한 재단의 대부분의 연구사업은 현장활동가들과 함께하는 액션러닝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연구에서도 각 아이템별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센터가 만족할만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댓글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