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사회적경제 학습공동체 페다고지 마쳤습니다.
올해로 7기를 맞이한 ‘2022 사회적경제 학습공동체 <페다고지>’에서 8명의 학습자는 두 팀(‘도라애몽’, ‘회전초밥’)으로 나뉘어 참여하였고, 전원 수료했습니다. 여태껏 진행한 페다고지 중 제일 규모가 작았던 기수였지만 학습자 간 시너지가 어느 해보다 빛을 발했습니다. 각자의 과제를 통해서 도움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특히나 조직 내의 소통문화, 회의문화, 소통 약속과 같은 ‘조직문화’ 관련 주제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학습자들은 서로를 인터뷰하거나 같이 학습(독서) 또는 워크숍을 하면서 조직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했습니다. 학습자들은 학습 과정 중에 내외부적으로 난항을 겪기도 했지만, 코치진과 다른 학습자들의 응원과 관심 덕분에 모두 순항할 수 있었습니다.
|2022 페다고지, 빛났던 1년의 여정
<3월 개강워크숍>
<7월 중간워크숍>


|2년에 걸친 페다고지 PM 역할을 이제 마칩니다.
안녕하세요, 사회투자지원재단 사회적경제지원팀 연구원 이경원입니다. 저는 2021년과 2022년 두 기수 동안 페다고지 PM을 맡았고, 이제는 연구자로서 페다고지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2년 동안 PM으로 참여하면서 간접적으로나마 현장의 ‘생생한’ 고민과 이슈들을 접했습니다. 때때로 속상함과 답답함에 학습자들이 눈물을 보이기도 했는데 현장에서 올라오는 ‘살아있는’ 감정이라는 것을 공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2년 동안 20명의 학습자가 던진 질문과 가져온 과제 덕분에 저도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고찰하거나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학습자와 코치진들은 서로에게뿐만 아니라 PM인 저에게도 좋은 질문들을 던져줬습니다. 현장을 깊이 생각해보고 고찰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장으로 자리 잡은 페다고지는 마침내, 사회적경제에서의 존재 이유를 증명했습니다. 많은 변화와 불안을 감당해야 하는 시기에도 질문의 장으로서 역할을 한다면 페다고지만큼은 제대로 된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나의 페다고지’가 될 것입니다.
⌈ 끝났구나, 마침내 .
마침 . 내 페다고지 ⌋
<도라애몽팀 학습모임>
<회전초밥팀 학습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