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성과관리 컨설팅

대안적 지역사회 문제해결 방식의 확산을 위해 조성된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18년도 전주, 춘천에 이어 19년엔 대전, 제주에 조성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 중앙 정책 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공통의 핵심 성과관리지표(KPI)와 지역별로 특성화된 지역별 지표를 개발

 

정부는 기존의 행정중심적인 방식이 아닌 주민의 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분야간 협업을 통한 ‘대안적 지역사회 문제해결’ 방식의 확산을 위해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을 조성하고 이를 확산할 계획으로 18년도에 전주와 춘천지역을 선정, 이어 19년도에는 대전과 제주 지역을 선정하였다.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사회혁신’의 무형의 가치가 유형의 성과로 실현되기 위해 기본이 되는 핵심적인 가치 (효과성, 민주성, 다양성, 공정성 등)를 반영하고, 향후에서도 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운영 주체들이 자체적으로 성과를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는 측정방법으로 공통의 핵심성과지표(KPI)를 개발하고 정책목표가 지역별로 특성화된 사업으로 반영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지역별 지표를 개발하여 성과가 관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지역의 소통협력공간을 하나의 공통성과관리지표로

사회투자지원재단은 거점형 소통협력공간의 정책과제와 정책 목표를 명확하게 하여 성공가능성을 높이고 사업과 관련된 중앙·지방정부와 민간주체간의 공동논의를 통해 실행력과 효과성을 강화하며, 중앙·지방 정부와 민간주체의 협력으로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혁신모델로 운영될 수 있도록 공동의 성과관리지표를 제안하였다.

2019년도 공통성과지표 총괄표

공통성과지표 TFT를 운영하여 18년 제안한 공통성과지표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현장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여 공통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지표의 정의 및 측정방향, 측정 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지침을 개발하였다.

본 자료를 활용할 때에는 사회투자지원재단의 허락을 구하고 출처를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